심리
-
사람 이해를 위한 상담이론기초 : 정신분석학(2)심리 2020. 1. 8. 23:06
프로이드 이론 : 사람의 이해 인간의 마음을 세 가지로 구분했다. 1. 의식 지금 생각하고 배우고 보는 것 마음 속의 욕망(충동)에 따라 계속 흘러간다. 전체 마음에서 매우 작은 부분으로 본다. 빙산의 일각 2. 전의식 의식하지 못하지만 조그만 노력하면 알 수 있는 것 잠재의식이라고도 한다. 3. 무의식 자신의 힘으로 끌어 올릴 수 없는 욕구 세상에서 용납되지 않는 충동 무의식은 정신분석의 핵심이며, 자유연산이나 꿈의 해석을 통해서 무의식을 이해하려고 한다. 자신을 잃을 정도로 화를 내면 그것은 무의식과 연결되어 있다. 그 무의식에는 드러나지 않은 불안, 수치심, 두려움, 갈등이 있다. 분노를 참는다고 분노가 없어지지는 않는다. 불안을 참는다고 불안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
프레임에 관한 프레임심리 2017. 9. 30. 09:10
프레임은 다양한 형태를 지닌다. 우리의 가정(assumption), 전제, 기준, 고정관념, 은유, 단어, 질문, 경험의 순서, 맥락 등이 프레임의 대표적인 형태다. 사람들은 흔히 프레임을 '마음가짐' 정도로만 생각한다. 그래서 좋은 프레임을 갖추기 위해서는 좋은 마음을 가져야겠다고 '결심'한다. 그러나 프레임은 결심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의 대상이다. 프레임 개선 작업은 나의 언어와 은유, 가정과 전제, 단어와 질문, 경험과 맥락 등을 점검한 후에 더 나은 것으로 설계하고 시공하는 작업을 요한다. [출처] 프레임, 최인철, 21세기북스, p66